본문 바로가기
Campus

농업환경과 관련되어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토양오염, 수질오염 및 대기오염 문제 / 지속가능농업

by 0** 2021. 4. 19.
728x90
반응형

농업환경과 관련되어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토양오염, 수질오염 및 대기오염의 문제

 

 

지속 가능한 농업 전개

 

생물체 또는 생물체와 비생물체 간의 관계를 생태계라고 한다.

자연생태계와 농업생태계는 어떻게 다른가? 농업의 환경은 생태계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가야하는지를 살펴보면서 농업의 지속가능성과 자연생태계와의 상호 관계, 공존에 대하여 먼저 살펴본다.

모든 생물은 물리적 환경과 상호관계를 가지며,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 흐름이 시스템속에서 영양단계, 생물의 다양성, 물질의 순환을 만들어 내고 있는 상태를 생태계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환경이라는 개념보다 광의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자연생태계는 군집의 활동과 종의 다양성, 에너지 흐름과 물질의 순환이 자동 조절되는 향상성을 갖고 끊임없이 역동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비교하여 농업의 생태계는 자연 상태의 일부분을 인간의 목적에 맞게 이용하면서 자연 생태계의 물질 순환체계를 제한적으로 이용하는 경영활동의 질서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농업은 생산성이라는 측면이 강조되어 자연 생태계와는 다르게 무기적인 물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 생명체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자연의 생명력의 질서에 대하여 인간이 선택하거나 억제 촉진시키는, 만들어진 자연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합목적인 활동에 의해서 자연의 물질 순환에 제약을 가하는 농업 환경은 대기생태계, 수상생태계, 토양생태계와 공생관계에 있으면서도 현대 농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생산성의 증대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연과의 공생관계를 파괴하는 인간 본위의 입장이 되어가면서 생태계에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지속가능한 농업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기 시작했다. 농업의 행위로 인하여 인간이 자연에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것에 대한 자각으로 친환경농업을 통한 안전한 먹거리 생산과 환경보전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농업을 추진하려는 움직임과 함께 지속가능한 농업의 측면에서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의 특징과 주요원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속 가능한 농업

 

1) 지속 농업이란

 

지속농업이라는 용어는 미국 하원의원이 1982년 청문회에서 처음 소개한 이후 세계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친환경 농업이 확산되기 시작할 때부터 지속농업의 개념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인간이 작물을 생산하는 농업생태계를 구축하면서, 기술 개발을 통해 농업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자 노력하여왔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화학비료를 투입하여 생산성 증대를 위한 노력, 농약의 사용을 통한 병해충에 의한 작물의 피해를 줄이는 노력 등의 다투입 농업이 크게 성행하였다. 그 결과 과거에 비해 보다 많은 농산물이 생산되어 공급되게 되었지만, 농지가 황폐화되고 병해충뿐 아니라 인근 지역의 자연 생태계까지 파괴되어 수질과 토양의 오염 사례가 늘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이 악화되자 다음 세대에는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이 사라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되었고, 그 결과 당장의 농업 생산성은 다소 떨어지더라도 미래에도 농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지하기 위한 농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으며, 지속농업이란 개념이 등장하였다.

 

지속 농업 持續農業 , sustainable agriculture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악화를 초래하지 않고 농사를 계속할 수 있는 농업방법이며, 과도한 농약이나 비료의 사용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와 토양의 악화를 방지하는 지속가능한 농업을 말한다.

지속 가능한 농업은 현재만이 아닌 미래를 바라보는 농업으로서의 가치가 있다. 유사한 개념으로 친환경 농업, 유기농업 등이 있으나 엄밀하게 보면 이들 농업은 지속농업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완전히 같은 개념은 아니다. 또한 농지와 자연을 해치지 않는 수준에서 농업 생산성과 식품 안전성을 높이고 농가 소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허용되기에 초기 원시농업으로 돌아가자는 주장과는 다르다.

 

근대의 농업은 화학비료나 농약 등의 자재를 충분히 투입함으로써 많은 수지를 올려 왔으나 최근 농약에 의한 환경오염이나 화학비료의 다량 투여에 의한 지력의 저하가 작물생산에 있어 큰 문제가 되었다. 이에

그 대책으로 유기질비료나 농약 사용을 최대한 제한하자는 주장이 등장하게 되었고, 퇴비, 구비, 녹비 등의 유기질비료만으로 작물재배를 하는 유기농법 또는 농약을 일체 사용하지 않은 무농약재배, 이 양자를 결합시킨 자연농법 등 다양한 방법에서 자연생태계를 보존하면서 생산성를 유지하려는 지속 가능한 농업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인공자재의 투입을 억제하고 동시에 지속성이 있는 작물재배를 실현하고자 하는 농법을 LISA 저투입 지속가능한 농업 low input sustainable agriculture이라고 한다.

 

2) 농업의 생태계 파괴의 문제

 

핸리치센 Henrichen은 물을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농축업을 이야기 하였다. 농업경영에 필수적인 비료와 농약 사용, 가축의 배설물 등이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 요인이라는 것이다. 이는 농사에 사용되고 있는 물이 전세계 물 총량의 70%를 사용하고 있다는데 유의하여 볼 필요가 있다. 농업용 비료성분의 수질 오염은 지하수의 오염에 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 중 략 -

 

3) 지속 가능 농업의 방향

- 중 략 -

 

 

 

* 농축산환경학 과제

 

농축산환경학 과제물 지속가능농업, 토양오염 수질오염 대기오염. 2021중간 시험 과제

농축산환경학 중간 시험 과제물 지속가능농업, 토양오염 수질오염 대기오염 특성, 주요원인 농학3. 농축산환경학 2021 1학기 과제명 현대농업은 안전한 먹거리 생산과 환경보전의 목표를 달성

allregil.tistory.com

 

반응형

댓글